노후를위한 국민연금 수령나이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2016. 4. 20. 16:59 카테고리 없음

노후를위한 국민연금 수령나이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좋은 날씨가 연속되다가 봄비로 인해 약간 쌀쌀한 기운이 좀 있습니다. 벌써 4월도 중순을 지났네요. 벚꽃이 활짝 폈을 때 동네에 도로 양옆을 벚꽃들로 꽉 찼었는데요. 정말 좋아 보였습니다. 그런데 이제는 꽃잎이 많이 떨어져서 아픈 나무처럼 보인다고 해야 할까요. 안타까운 모습으로 꽃잎을 떨어트리고 있네요. 참 그런걸 보고 있으면 왠지 마음이 시렵습니다. 저또한 나이가 들고 노후가 되면 화려했던 모습은 사라지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기도 했습니다. 



 



우선 부모님이 건강하게 오래오래 사실 수 있도록 자식 된 도리로 잘 해야 겠다는 생각도 들고 있습니다. 누구나 나이를 먹고 노후가 되는데요. 오늘 포스팅의 주제 역시 노후를 대비하는 내용으로 준비 했습니다. 노후에는 수입이 줄어드는 게 보통 사람들의 경우입니다. 저희 부모님도 역시 수입이 줄어서 국민연금과 자식들이 드리고 있는 용돈으로 생활을 하시고 계십니다. 대한민국 국민은 세금을 내야 하는 의무가 있는데요. 그 중에 가장대표적인 연금에 관한 내용으로 국민연금 수령나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확인해야 할 내용은 급여되는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연금 방식은 크게 분류하면 세 가지로 나뉘게 됩니다. 노령, 장애, 유족연금 이렇게 세 가지로 분류가 되는데요. 노령연금을 말씀드리면 가장 기본적인 연금방식으로 알고 계시면 됩니다. 연금 개시일이 되었을 때 받게 되는 연금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장애연금은 말 그대로 장애로 인해 수입이 없고 많이 줄어들게 됐을시 받게 되는 연금입니다. 마지막으로는 유족연금 입니다. 가입자가 사망 했을시 유가족에게 지급되는 연금이 되겠습니다. 



 



위 제도의 특징 중 한가지는 분할방식이 아닌 일시금으로 신청이 됩니다. 두 가지 상황으로 구분 되는데요. 반환일시금과 사망일시금 이렇게 두 가지로 구분이 됩니다. 반환일시금은 해당 제도의 혜택을 받을 수 없는 상황으로 더는 가입을 할 수 없게 됐을 시에 중도 정산을 받을 수 있는 방식이 되겠습니다. 사망일시금은 유족연금이나 반환일시금을 받지 못할 때 지급되는 방식 입니다.



 



 



그러면 받게 되는 시기와 기간은 어떻게 되는 것일까요? 그것은 가입자의 태어난 연도에 따라서 달라지게 됩니다. 위 사진을 참고 하시면 이해 하시는데 도움이 되실 것 같습니다. 



 



기본적으로는 매월 25일이 지급일 입니다. 지급하는 방법은 수급받는 사람이 거래하는 금융기관 도는 우체국 을 이용하여 예금 계좌로 지급이 됩니다. 



 



위에 설명해 드린 내용으로는 이해가 잘 안가시는 분들은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로 들어가셔서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으니 고민 하시 마시고 도움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지금까지 국민연금 수령나이 알아보는 방법에 대해 설명을 드렸습니다. 당장은 크게 와닿지가 않으실 수 있지만 추후에 다가올 노후를 대비하셔서 미리 알아보시는 게 좋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많은 분들께 도움이 되시길 기원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