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약 7가정 당 1가정은 난임부부에 해당할 만큼 그 수가 많아지고 있는 실정인데요. 물론 치료도 중요하겠지만, 생활습관도 개선해야 합니다. 과일, 채소, 수산물을 꼭 챙겨먹고, 균형있는 생활을 해야 하고, 끼니마다 콩, 견과류, 생선 등 단백질 음식을 섭취해야 합니다. 그렇다면 국가에서 지원해주는 난임부부 지원사업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지원자격은 어떻게 되나요?
법적 혼인상태에 있는 난임 부부로서 난임시술을 요하는 의사 진단서 제출자와 현재 여성연령 만 44세 이하인 사람이 지원할 수 있습니다.
지원내용은 어떻게 되나요?
지원결정통지서 발급을 받는 순서대로 기회가 부여됩니다.
① 체외수정시술
② 인공수정시술
신청접수는 어떻게 하나요?
연중 접수가 가능하고 부인 주소지 관할 시.군.구 보건소에서 신청합니다. 신청 후 타 지역으로 전출할 경우는 해당지역 보건소로 신청서 관련 사본서류를 송부합니다.
제출서류는 어떤 것이 있나요?
지원신청절차는 어떻게 되나요?
정부지원 난임치료 지원신청서를 거주지 시,군,구 보건소에 제출하여 지원결정 통지서를 받급받아 희망하는 정부지정 시술기관에 반드시 제출하고, 시술받을 수 있습니다.
시술비 지급은 어떻게 하나요?
① 체외수정시술비 지급
시술기관에서는 피시술자에게 정부지원금이 초과될 때부터 본인 부담금 청구합니다. 외래약 처방을 받은 경우 처방전과 영수증 제출 시 비급여 약제비에 대하여 정부지원금액 한도내에서 지급가능합니다.
체외수정의 경우 통지서 접수 후 시술비용에서 공제처리 됩니다.
② 인공수정시술비 지급
지원대상자는 시술 후 시술기관에게 시술비를 지급하고 최종 시술확인서를 발급받아 피시술자 주소지의 시.군.구 보건소에 제출하고 본인이 부담한 시술비를 청구해야 합니다.
인공수정시술비 청구 시 서류는 시술확인서 1부와 지원결정통지서 사본 1부, 진료비 영수증 각 1부, 처방전 및 약국영수증 각 1부, 본인 통장사본이 필요합니다.
한 달 이내에 시술비를 청구해야 하며, 청구비 통장 입금은 1개월 가량 소요됩니다.
소득 기준별 지원금액은 얼마나 되나요?
시술비 지원단가는 어떻게 되나요?
'생활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소기업 고용환경개선 지원금신청은 어떻게 하는걸까? (0) | 2017.05.10 |
---|---|
기초생활수급자 자격요건 2017년 최신정보 확인하기 (0) | 2017.05.09 |
버팀목 전세자금대출 조건은 어떻게 될까? (0) | 2017.05.08 |
중장년 일자리 희망센터 서비스에 대해 알아봅시다 (0) | 2017.05.07 |
조기재취업수당은 어떻게 받을 수 있을까? (0) | 2017.05.07 |